교육/교육을 위한 교육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리의 마음가짐: 고정인가 성장인가? <1> -마인드셋(캐롤 드웩)을 읽고. 당신은 능력이 결정돼있다고 생각하는가? 유동적이라고 생각하는가? 당신은 당신의 자녀를 어떻게 칭찬하는가? 자녀의 담임교사의 마음가짐은 왜 중요한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마인드셋(마음가짐)을 이해해야 한다. 우리의 능력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 유전과 환경이다. 유전적 요소는 태어날 때부터 결정된 요소이다. 마치 우리가 태어난 날짜를 바꿀 수 없는 것처럼 유전에 의해 발현되는 능력 요소는 안정적이고 잘 바뀌지 않는다. 그 대척점에 환경 요소가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환경은 개인의 노력, 받아온 교육 여부, 문화적 배경, 지리적 특성, 부모의 양육태도 등 매우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개념이다. 그렇다면 마인드셋(마음가짐)은 무엇일까? 마인드셋이란 좁게 말.. 미래를 향한 교육을 위하여 <2> 미래를 향한 교육을 위하여 을 고려할 때 나는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이 글에서는 지식, 기능, 메타 학습으로 나누어서 써보고자 한다. 공식처럼 수업 설계 시 수업의 목표를 지식과 기능 태도 세 부분으로 나눠서 설정한다. 나는 지식을 학생들이 이번 수업을 통해서 알아야 할 것, 기능을 학생들이 지식을 바탕으로 할 수 있는 것, 태도가 그것을 좋아하게 하는 것, 호감을 가지게 하는 것 이렇게 생각하였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이나 기능, 태도가 미래를 위한 학습의 목표가 아님을 깨닫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지식 : 학생들에게 어떤 지식을 알려줘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앞서 오늘날 초등학교 6학년을 기준으로 배우고 있는 교과목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미래를 향한 교육을 위하여 <1> - 4차원 교육 4차원 미래역량을 읽고 근대 학교 교육 제도를 재판합니다 위 동영상을 교사생활을 하는 지금까지 반(?) 강제적으로 10번은 넘게 본 것 같다. 시간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동영상에 대해 짧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근대 학교 교육 제도는 노동자에게 필수적인 지식을 가르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러한 획일적 교육 안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특성은 고려되지 못한 채 교육과정에 의해 똑같은 수업을 듣고 똑같은 기준으로 평가를 받으며 점차 획일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재단되어 간다. 이러한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삶에 대한 자신감에 악영향을 미치며 창의성을 방해한다. 이러한 교육 제도는 1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지속되고 있으며 , 이는 분명히 교육이 비판받아야 할 부분이다. 교사로서 위 영상에 대해 완전.. 이전 1 다음